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예산 삽교석조보살입상 종 목 : 보물 제508호 명 칭 :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禮山 揷橋邑 石造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기 지정일 : 1969.06.21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삽교읍 신리 산1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예산군 2개의 돌을 이어서 조각한 석불로 충청남도 예산군 수암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머리에는 두건같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 6각으로 된 갓 모양의 넙적한 돌을 올려 놓았다. 어깨의 윤곽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조금씩 넓어지지만 양감이 전혀없이 밋밋하여 마치 돌기둥 같다. 왼손은 몸에 붙인채 아래로 내리고 있고, 오른손은 가슴까지 올려 돌지팡이같은 것을 잡고 있는데 양 발 사이까지 길게 내려오고 있다. 거구이면서 불륨없는 돌기둥.. 2012. 9. 12.
[충남]아산 인취사석조아미타삼존불상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5호 명 칭 : 아산 인취사 석조 아미타삼존불상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기 지정일 : 2005.10.31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84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인취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인취사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에는 관음보살이 우에는 지장보살이 자리하고 있는 삼존불입니다. 중앙의 아미타불좌상은 선정인으로서 결과부좌하였으며, 육계가 크고 나발이 선명하고 오른팔에 편삼을 걸친 변형 통견식 법의로서 아미타불의 전형적인 수인과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좌측의 관음보살상은 본존과 같은 착의법을 하였으며, 보관정면에 아미타불좌상의 화불을 .. 2012. 8. 15.
[충남]예산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51호 명 칭 :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金正喜先生筆蹟岩刻文) 분 류 : 유물 / 일반조각/ 암벽조각/ 각석 수 량 : 3점 지정일 : 1998.12.24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5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화암사 관리자 : 화암사주지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화암사 뒷편에 자리한 2개의 바위에 각각 ‘시경(詩境)’, ‘천축고선생택(天竺古先生宅)’이라 새겨 놓은 것으로, 모두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씨이다. 이 곳에서 500여m 떨어진 곳에 ‘소봉래(小蓬來)’라는 글귀가 있으며, 이 글귀 밑으로 ‘추사제(秋史題)’라 쓴 작은 글씨도 보인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청남도 기념물 제151호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20.. 2012. 8. 9.
[충남]천안 만일사마애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5호 명 칭 : 만일사마애불 (晩日寺磨崖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 청흥리의 만일사 법당 뒤의 자연암벽에 돋을새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렵다. 머리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얼굴의 윤곽은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양 어깨는 거의 수평으로 당당하게 보이며,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다. 불상의 앞부분과 머리 위쪽 양편에 홈이 있는 점으로 보아 보호.. 2012. 7. 8.
[충남]천안 만일사 석불좌상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명 칭 : 만일사석불좌상 (晩日寺石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에 있는 만일사(晩日寺)는 고려 태조 4년(921)에 도선이 지은 사찰로, 석가모니불과 5층 석탑을 만들어 놓았다고 하나 신빙성은 없다. 높이 164㎝의 불상은 관음전 뒤편에 있는 자연동굴 속 암벽에 조각되어 있다. 머리를 잃어버려서 시멘트로 새로 만들었는데 신체에 비해 좀 크게 느껴진다. 깊게 새겨진 옷은 왼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 2012. 7. 8.
[충남]천안 만일사 법당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0호 명 칭 : 만일사법당 (晩日寺法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우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산50-2 시 대 : 소유자 : 만일사 관리자 : 만일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만일사를 세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법당 안에 모시고 있는 동제관음보살상에 새긴 글로 보아 고려 목종 5년(1002)에 세운 것으로 추정한다. 지금 있는 법당은 1970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만일사에는 법당 외에도 법당 앞에 있는 만일사 5층석탑(문화재자료 제254호), 법.. 2012. 7. 8.
[충남]아산 온천리석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 명 칭 : 온천리석불 (溫泉里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29 시 대 : 소유자 : 관광호텔 관리자 : 관광호텔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온천리석불에 대한 설명입니다.충청남도 아산시 온양관광호텔에 있는 것으로 1927년 신창면에 파손되어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서 옮긴 것이다. 전체 높이는 84㎝이며 둥근 얼굴에 양 어깨를 감싼 옷을 입고 있다. 두 손은 무언가를 들어 마주 쥐고 가슴 위까지 올리고 있어 스님의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전반적인 불상의 형태로 보아 보아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자 료 : 문화재청 충청남.. 2012. 7. 4.
[충남]아산 영괴대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 명 칭 : 영괴대 (靈槐臺)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42-10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광호텔 관리자 : 관광호텔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영괴대에 대한 설명입니다.영조가 온양의 온궁에 행차하였을 때, 함께 따라온 장헌세자(사도세자)가 무술을 연마하던 곳이다. 세자는 이를 기념하고자 온양군수 윤염에게 세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도록 하였고, 이후 아들인 정조가 왕위에 오른지 19년만인 1795년에 온양군수 변위진과 충청도 관찰사 이형원에게 명하여 이곳에 대를 만들도록 하였다. 대의 옆에 공사가 끝난 후 그 간의.. 2012. 7. 4.
[충북]영동 마니사지석조여래입상 마니사지 석조여래입상 영동군 양산면 죽산리 이마을 뒤에 마니산 남쪽 기슭에 있는 마니사지에 있던 불상으로 현재는 양산면 송호리 유원지내의 여의정 옆에 옮겨져 있다. 조각 수법으로 보아 대략 고려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영동군 향토문화재로 1996년 5월에 지정되었다. 충북영동 마니사지석조여래입상 2012.04.14 문현준 2012.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