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종 목 : 보물 제197호명 칭 :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靑陽 邑內里 石造如來三尊立像)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3구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칠갑산로9길 58 (읍내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청양군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따로 가지고 있는 독립된 불상이 삼존불(三尊佛)을 이루고 있다. 본존불은 당당한 체구의 불상으로 머리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고,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서는 강인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군데군데 옷 사이로 드러난 신체 역시 당당하고 강인한 느낌을 준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에서 발목 부분까지 U자형의 주름을 이루면서 내려오고 있으며, 다리 사이에는 .. 2013. 8. 30. [충남]공주 계룡산 신원사중악단 종 목 : 보물 제1293호명 칭 : 공주 계룡산 중악단 (公州 鷄龍山 中嶽壇)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수 량 : 일곽(3동)지정일 : 1999.03.02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산8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신원사관리자 : 신원사 중악단은 국가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라 때 5악의 하나로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남쪽의 지리산을 하악으로, 중앙의 계룡산을 중악으로 하여 단을 모시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1394)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1651)에 제단이 폐지되.. 2013. 8. 28. [충남]서산 해미읍성 종 목 : 사적 제116호명 칭 : 서산 해미읍성 (瑞山 海美邑城)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지면 적 : 194,102.24㎡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국유,사유관리자 : 서산시 고려 말부터 국정이 혼란한 틈을 타서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바, 이를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1417)부터 세종3년(1421) 사이에 당시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사영(忠淸兵馬都節制使營)을 이 곳에 옮기고자 축성(築城)되었으며, 효종3년(1652)에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이 청주로 옮겨가기 전까지 230여 년간 군사권을 행사하던 성으로 있다가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설되고 해미현의 관.. 2013. 8. 15. [충남]서산 보원사지 종 목 : 보물 제102호명 칭 : 서산 보원사지 석조 (瑞山 普願寺址 石槽)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수 량 : 1개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서산시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 2013. 8. 15. [충남]천안 삼태리마애여래입상 종 목 : 보물 제407호명 칭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수 량 : 1좌지정일 : 1964.09.03소재지 :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휴양림길 70 (삼태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마애불 윗부분의 바위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양감있는 넓적한 얼굴은 가는 눈.. 2013. 8. 14. [충남]서산 보원사지 강댕이 미륵불 충남 서산 보원사지 입구에 있는 미륵불2012.12.16문현준 2013. 8. 1. [충남]홍성 홍주읍성 조양문야경 종 목 : 사적 제231호명 칭 : 홍성 홍주읍성 (洪城 洪州邑城)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지면 적 : 46,961㎡지정일 : 1972.10.14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2시 대 : 삼국시대소유자 : 국유,사유관리자 : 홍성군자 료 : 문화재청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당시 성의 규모는 둘.. 2013. 7. 3. [충남]공주 마곡사 명부전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명 칭 : 마곡사명부전 (麻谷寺冥府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시 대 : 일제강점기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마곡사는 백제 무왕 41년(640)에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절 경내에는 명부전을 비롯하여 대웅전, 영산전, 대광보전, 홍성루 등 많은 건물이 남아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모시고 있어 지장전·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은 모든 인간을 교화시키는 역할을 맡았으며, 시왕은 염라대왕을 비롯한 10명의 지옥 심판관이다. 자 료 : 문화재청 .. 2013. 5. 3. [충남]아산 공세리성당의 낮과밤 아산공세리성당 종 목 : 충청남도 기념물 제144호 명 칭 : 아산공세리성당 (牙山貢稅里聖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량/면적 : 8,988㎡ 지정일 : 1998.07.28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4-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대전교구천주교회 관리자 : 공세리 성당 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인주면 공세리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 성당이다. 130여 평 규모에 본당·사제당·피정의 집·회합실 등의 건물이 있고 병인박해 때 순교한 3인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본당은 1층 적벽돌 건물로, 정면에는 높은 첨탑이 있고, 내부에는 무지개 모양의 회색 천장이 마련되어 있다. 사제관은 2층 벽돌 건물로, 정면이 팔자(八)계단으로.. 2013. 4. 1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