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외 종 목 : 국보 제58호 명 칭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 장곡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장곡사 관리자 : 장곡사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 2014. 8. 5.
[충남]청양 윤남석가옥 종 목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8호 명 칭 : 청양윤남석가옥 (靑陽尹男石家屋)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 1곽(3,670㎡) 지정일 : 2002.08.10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장평면 장수길 13-8 (미당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청양군,윤남석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청양 윤남석 가옥는 안채·사랑채(큰 사랑채)·별채(작은 사랑채)·행랑채·곳간 등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에서 1900년 초에 건축된 고택이다. 그 중 정면 5칸·측면 3칸에 전면으로 한칸 덧달아 낸 사랑채(큰사랑채)는 윤남석의 고조부가 지었다. 그리고 정면 9칸·측면 3칸의 안채와 정면 5칸·측면 3칸에 4면으로 반칸씩의 퇴를 돌.. 2014. 8. 5.
[충남]논산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명 칭 : 논산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論山 雙溪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2013.04.22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관리단체)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논산 쌍계사의 대웅전은 1738(영조14)년에 재건립 된 건물로서 현재 보물 제 408호로 지정되어 있음. 대웅전에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 안에서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경전 및 복장물 등이 출토됨 삼세불상은 가운데 석가불이 좌우 약사불과 아미타불보다 약간 크게 조성되었으며, .. 2014. 8. 5.
[충남]보령 성주사지 명 칭 :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종 목 : 사적 제307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수량/면적 : 29,757㎡지정일 : 1984.08.13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시 대 : 통일일신라소유자 : 국유,사유관리자 : 보령시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 2014. 5. 13.
[충남]아산 여민루 명 칭 : 여민루(慮民樓)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수 량 : 1동지정일 : 1973.12.24소재지 : 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628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아산시관리자 : 아산시문 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예술과 041-540-2069 조선시대 아산군 관아 입구에 세웠던 문루건물로,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게 지은 다락형식의 집이다. 조선 태종 11년(1411) 현감 최안정이 낡은 객사를 고쳤다고 하는데, 태종 13년 백성들의 도움을 얻어 객사 동편에 지었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날개 모양인 익공양식이다... 2014. 4. 26.
[충남]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예산군 관리자 : 예산군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 2014. 4. 22.
[충남]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명 칭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泰安 薪斗里 海岸砂丘) 종 목 : 천연기념물 제431호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면 적 : 1,702,165㎡(지정구역) 지정일 : 2001.11.30 소재지 :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산263-1 외 소유자 : 국유, 사유 관리자 : 충남 태안군수 해안사구는 해류에 의하여 사빈으로 운반된 모래가 파랑에 의하여 밀려 올려지고, 그곳에서 탁월풍의 작용을 받은 모래가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되는 지형을 말한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태안반도 서북부의 바닷가를 따라 형성된 길이 약 3.4㎞, 폭 약 0.5∼1.3㎞의 모래언덕으로 내륙과 해안의 완충공간 역할을 하며 바람자국 등 사막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경관이 나타나는 곳이다. 신두리 .. 2014. 4. 22.
[충남]태안 두웅습지 2002년 11월 사구습지로는 국내 처음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 하였스며,2007년 12월에는 울주 무제치늪과 함께 람사르습지 지정.등록 되었다. 충남 태안 두웅습지 2013.06.29문현준 2014. 4. 22.
[충남]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외 종 목 : 국보 제58호 명 칭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 장곡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장곡사 관리자 : 장곡사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 2014.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