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층석탑428

충북 충주 온천리 탑동삼층석탑 수안보면 온천리 탐동삼층석탑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53번지(탑골2길 25-1)자세한 설명은 한국향토문화대전 으로 2024.06.09탑동삼층석탑 이전글보기2012.03.03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충주 온천리탑동삼층석탑 [충북]충주 온천리탑동삼층석탑흔들렸네요.. 그래도 글자는 읽을수 있을듯하여.. 요집 바로 앞에 있습니다. 온천리탑동삼층석탑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853 번지 (탑골2길 25-1) 봉불사앞 개울가에 있는 고려후기의 석탑으sajin365.net 2024. 11. 27.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2024. 11. 24.
전남 신안 읍리삼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신안읍리삼층석탑 (新安邑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09.22 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읍리 350-1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탑으로, 탑이 속했던 절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돌로 이루어졌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보이는 파손된 석재가 놓여있다. 기단이 1층.. 2024. 11. 20.
충남 보령 성주사지 , 오층석탑외 사적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 67,295㎡ 지정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신라 문성왕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서 3층석탑(보물).. 2024. 10. 10.
세종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 (小井 大谷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7.4㎡ 지정(등록)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559-1번지 화강암으로 된 이 탑은 옥개석(屋蓋石) 부분이 많이 파괴되었다. 탑의 전체 높이는 130㎝에 불과하며 정사각형에 가까운 지대석 위에 최근 보수한 시멘트로 된 중대석(中臺石)과 그 위에 상대석(上臺石)과 삼층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옥개석과 탑신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옥개석 아랫부분에는 3단의 옥개받침이 있으며 옥개석 추녀는 약간 반전(反轉)되었다. 상륜부(相輪部)는 둥근 모양의 노반(露盤)만 있으나 노반 중앙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상륜(相.. 2024. 10. 2.
충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보물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堤川 神勒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99.06.23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0 (월악리) 시   대 : 고려시대 초기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하나씩 본떠 새겼고,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층마다 4단이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은 경사를 약하게 두었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치켜 올려진 상태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으며, 머.. 2024. 9. 24.
충북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보물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堤川 獅子頻迅寺址 四獅子 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1002-1번지 시   대 : 고려 현종 13년(1022) 빈신사터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상·하 2단으로 된 기단 위에 4층의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기단은 글이 새겨져 있어 탑의 조성 경위를 알 수 있으며 위기단은 사자 4마리를 배치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네 모서리에 한마리씩 배치한 사자의 안쪽 공간에 불상을 모셔 두었다. 앉은 모습의 불상은 특이하게도 두건을 쓰고 있으며 표정이 매우 흥미롭다. 이러한 양식은 통일신라시대의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 2024. 9. 24.
경남 남해 다정리 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남해 다정리 삼층석탑 (多丁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4.02.16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587-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다천사에 세웠던 석탑이라 한다. 절의 내력과 역사는 알 수 없고, 다만 다천사가 용문사에 편입될 당시 탑만이 원래의 절터에 남게 되었다고 전한다. 현재 탑신부(塔身部)의 몸돌 2개와 지붕돌 2개만 남아 2층탑의 모습이지만, 원래는 3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의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보이고, 지붕돌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3개의 보주(寶珠 : 작은 공모양장식)가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완전한.. 2024. 9. 21.
경남 남해 신흥사지 삼층석탑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남해 신흥사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3.07.20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면 당항리 87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신흥사의 옛 터에 있었던 3층 석탑으로, 탑을 품었던 절은 신라 신문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던 곳이나, 현재는 터만 남아 당항리 마을로 변해버렸다. 절터에 마을이 들어서면서 탑을 몇 차례 옮기다 1957년 마을 주민들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놓았는데, 옮길 때마다 각 부분의 돌들이 없어지거나 훼손되었다. 현재는 기단부(基壇部)가 모두 없어지고 탑신(塔身)의 1층 몸돌과 1·2·3층 지붕돌, 머리장식인 보개(寶蓋:뚜껑모양의 돌), 보륜(寶輪:수레바퀴모양의 돌) 만이 남아 있다. 고.. 2024.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