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48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천연기념물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濟州 中文·大浦海岸 柱狀節理帶)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수량/면적 : 380,968㎡ 지정일 : 2005.01.06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2663-1번지 등 제주중문 ·대포해안주상절리대는 서귀포시 중문동 ·대포동 해안을 따라 분포되어 있다. 약 3.5km에 이르며, 용암의 표면에는 클링커가 형성되어 거친 표면을 보이나, 파도의 침식에 의해 나타나 있는 용암단위(熔岩單位)의 중간부분을 나타내는 그 단면에서는 벽화와 같은 아름다운 주상절리가 잘 발달한다. 주상절리의 크기는 키가 큰 것은 20m 내외로 발달하며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깨끗하고 다양한 형태의 석주들을 보여주고 있다. 해식애를 따라 발달한 주상절리.. 2024. 8. 1. 제주 수월봉 천연기념물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濟州 水月峰 火山碎屑層)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수량/면적 : 211,011㎡ 지정일 : 2009.12.11 소재지 : 제주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산3616-1번지 등 수월봉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여러 오름 중, 성산일출봉, 송악산, 소머리오름 등과 더불어 수성화산활동(水性火山活動)에 의해 형성된 대표적인 화산(응회환)이다. 수월봉의 현재 지형은 평범하지만 서쪽 해안절벽을 따라 노출된 화산쇄설암의 노두는 세계적인 수준이며 학술적 가치도 매우 크다. 수월봉은 특히 화쇄난류(火碎亂流, pyroclastic surge)라고 불리는 독특한 화산재 운반작용에 의해 쌓인 화산체로서, 해안절벽 노두의 측방 연장성이 뛰어나 화쇄난류층의 세계 .. 2024. 8. 1. 제주 서귀포 마라도 천연기념물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馬羅島 天然保護區域)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보호구역 / 문화및자연결합성 / 영토적상징성 수량/면적 : 5,745,202㎡ 지정일 : 2000.07.18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580 등 마라도는 우리나라의 가장 남쪽에 있는 섬으로 동서가 짧고 남북이 긴 타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마라도는 바다 속에서 독립적으로 화산이 분화하여 이루어진 섬으로 생각되나 분화구는 볼 수 없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섬의 돌출부를 제외한 전 해안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서해안과 동해안 및 남해안은 높이 20m의 절벽으로 되어 있고 파도 침식에 의하여 생긴 동굴이 많이 발견된다. 육상식물은 모두 파괴되어 경작지나 초지로 변했으며, 섬의 중앙부에.. 2024. 8. 1.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世宗 林蘭秀 은행나무)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역사 수량/면적 : 2주/7,260.5㎡ 지정(등록)일 : 2022.05.12 고려말 충신 임난수 장군(1342~1407)의 사당(현 숭모각) 앞에 심어진 은행나무로 부안임씨세보(1674년 간행)의 부조사우도에 은행나무 한 쌍과 행정(杏亭)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으며 충청도 공주목의 부조사우(不祧祠宇), 연기지에도 은행나무에 관한 내용을 찾을 수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음.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노거수로서 기존에 단목으로 지정된 은행나무와는 차별성이 있고 유교 문화와 관련된 행단(杏壇)의 좌우 대칭으로 심는 전통 재식방법과 전월산 자락의 숭모각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2023. 11. 8. 경북 울진 행곡리처진소나무 천연기념물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蔚珍 杏谷里 처진소나무)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 수량/면적 : 1주 지정(등록)일 : 1999.04.06 소재지 : 경북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672번지 문화재 설명 처진 소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모습을 하고 있으며 매우 희귀하다. 이 처진 소나무는 나이가 약 3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가 11m, 둘레는 3.01m이다. 이 나무는 마을이 생겨날 때 심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마을의 상징으로 보호를 받고 있으며, 특히 나무의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울진 행곡리 처진 소나무는 희귀종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천연기념물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2.. 2022. 8. 18. 충북 단양 고수동굴 천연기념물 단양 고수동굴 (丹陽 古藪洞窟)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 수량/면적 : 61,784㎡ 지정(등록)일 : 1976.09.24 소재지 : 충북 단양군 단양읍 고수리 산4-2번지 외 시 대 : 고생대 단양 고수리 동굴은 남한강 상류 충주호반의 단양읍 금곡천 냇가에 있다. 총길이는 1,200m이나 현재 공개하여 관광코스로 이용하고 있는 구간은 600m 이며, 안쪽의 나머지 지역은 동굴 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출입통제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동굴의 수호신이라고 할 수 있는 사자바위를 비롯하여, 웅장한 폭포를 이루는 종유석, 선녀탕이라 불리는 물 웅덩이, 7m 길이의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 석순과 종유석이 만나 기둥을.. 2021. 9. 29. 강원 태백 구문소 천연기념물 제417호 태백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고생물 지정일 : 2000.04.28 소재지 : 강원 태백시 동점동 산10-1번지 등 시 대 : 원시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태백 구문소(求門沼)는 황지천 하구의 물길 가운데 있다 .구문(求門)은 구멍·굴의 옛말이며 ‘굴이 있는 늪’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현재의 황지천은 하식동굴과 구문소를 지나 흐르면서 철암천과 합류하여 낙동강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과거 동굴이 뚫리기 이전의 황지천은 동굴의 남서쪽을 크게 휘돌아 곡류하였으나 동굴이 뚫림으로 인하여 오늘과 같이 흐르게 되었다. 태백 구문소 부근의 석회암에는 건열, 물결자국, 소금흔적, 새눈구조 등의 퇴적구조와 삼엽충, 완족류, 두족.. 2019. 9. 3. 경북 포항 북송리 북천수 천연기념물 제468호 포항 북송리 북천수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생활 수량/면적 : 191,229㎡ 지정(등록)일 : 2006.03.28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북송길 63 (북송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포항시 흥해읍 북송리의 2.5㎞ 북천변을 따라 길게 선형으로 조성된 송림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흥해현지도」에도 북천수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한국지명총람」에 북천수 조성유래에 대한 기록과 「조선의 임수」에 1938년 조사 기록이 남아 있는 등 예로부터 매우 유명한 숲이며, 현재에도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숲 중 3번째로 긴 숲으로 알려져 있다. 북천수는 「한국지명총람」에 ‘조선 철종 때 흥해군수 이득강이 읍성과 흥해의 진산인.. 2019. 8. 15. 충남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내산면은행나무) 종 목 : 천연기념물 제320호 명 칭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扶餘 珠岩里 은행나무)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1982.11.09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시 대 : 소유자 : 부여군 외 관리자 : 부여군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부여 주암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3m, 가슴높이의 둘레는 8.6.. 2016. 4. 27.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