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남225

전남 목포 갓바위 및 목포대교 야경 전남 목포 갓바위 및 목포대교 야경 2019.06.26 목포관련 이전글보기 2015/12/19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전남 목포 목포대교야경 전남 목포 목포대교야경 목포대교 야경 2015.08.16 문현준 목포대교 이전글보기 2015/11/2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목포 유달산외 2014/12/19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목포]폭포대교야경 2014/05/12 - [한국의산하/일.. sajin365.net 2015/11/2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목포 유달산외 전남 목포 유달산외 목포대교 북항 유달산에서 바라본 목포시내 2015.08.07 문현준 목포관련 이전글보기 2015/11/23 - [한국의문화유산/전라권] - 전남 목포 갓바위 2014/12/19 .. 2019. 12. 22.
전남 신안 읍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명 칭 : 신안읍리삼층석탑 (新安邑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09.22 소재지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읍리 350-1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탑으로, 탑이 속했던 절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돌로 이루어졌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2019. 12. 6.
전남 신안 천사대교 전남 신안 압해도에서 암태도, 팔금도, 안좌도,자은도를 이어주는 천사대교 착공당시에는 새천년대교로 불리더니 이름을 바꾼듯하다.임시개통후 마지막 공사중. 2019.02.18 천사대교 이전글보기 2015/12/1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신안 새천년대교(천사대교) 전남 신안 새천년대교(천사대교) 현재 건설중일 새천년대교 전남 신안 송공에서 암태도연결중 2015.08.16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9/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신안 암태도 sajin365.net 2019. 12. 6.
전남 신안 안좌도 퍼플교 전남 신안 안좌도 퍼플교. 예전에는 이름이 천사의다리 였는데 아마도 새천년대교를 천사다리로 변경하면서 바꾼듯. 2019.02.18 이전글보기 2015/09/0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신안 안좌도 천사의다리 [전남]신안 안좌도 전남 신안 안좌도 천사의다리 2015.03.29 문현준 sajin365.net 2019. 12. 6.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꽃무릇 및 야생화 2017.09.17 불갑사관련 이전글보기 2019/07/04 - [한국의문화유산/전라권] - 전남 영광 불갑사 승탑 전남 영광 불갑사 승탑 전남 영광 불갑사 승탑들 2016.09.25 촬영 불갑사 관련 이전글 보기 2019/07/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야생화 한컷 2016.09.25 촬영 불.. sajin365.net 2019/07/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전남 영광 불갑사에서 야생화 한컷 2016.09.25 촬영 불갑사관련 이전글보기 2019/07/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전남 영광 불갑사 꽃무릇 2016/04/19 -.. 2019. 9. 9.
전남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담양오층석탑) 보물 제506호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9.06.16 소재지 : 전남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34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담양읍에서 순창 가는 길을 따라 1㎞쯤 가다 보면 넓은 평지가 전개되는데 절터의 흔적은 없고 들 가운데에 이 석탑만이 서있다. 탑은 1층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며, 머리장식은 모두 없어졌다. 기단은 다른 탑에 비하여 높이가 매우 낮아 특이하고, 기단 맨윗돌의 너비가 1층 지붕돌의 너비보다 좁은 것 또한 특이한 양식이다. 탑신은 알맞게 체감되어 안정된 느낌이며, 2층 이상부터는 몸돌을 받치는 두툼한 괴임을 새겨 고려시대 석탑의 특색을 보여주.. 2019. 8. 16.
전남 담양 객사리 석당간 보물 제505호 담양 객사리 석당간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9.06.16 소재지 : 전남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45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당간(幢竿)이란 이 깃발을 달아두는 대(臺)를 말한다. 담양읍 석당간은 담양읍에서 순창행 도로를 따라 1㎞쯤 가다보면 논 한가운데에 높게 서 있다. 연꽃잎이 새겨진 돌 위에 당간을 세우고 양 옆에 기둥을 세워 지탱하고 있다. 당간은 가늘고 긴 8각 돌기둥 3개를 연결하고 연결부위에 철띠를 둘렀다. 꼭대기에는 쇠로 만든 둥근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이 있는데 풍경같은 장식물이 달려있고 위에는 철침이 솟아.. 2019. 8. 16.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2016.09.25 촬영 문현준의 사진속으로 용천사 이전글보기 2019/07/04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2016.09.25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19. 7. 4.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2016.09.25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19.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