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충청남도214

충남 예산 이남규선생고택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이남규선생고택 (李南珪先生故宅)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 3동 지정(등록)일 : 1976.07.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술면 상항리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제281호 '예산 수당고택'으로 승격 지정되어 지정해제.(2014.02.25.문화재청고시) 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이남규선생고택 2021.06.26 2021. 8. 20.
충남 예산 상항리석불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예산상항리석불 (禮山上項里石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76.10.14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상항리 산 25-2 타원형의 평평한 돌에 새긴 것으로 마애불과 비슷한 형식의 불상이다. 둥글넓적한 얼굴에 눈과 입을 가는 선으로 작게 표현했지만 미소를 띠고 있다. 몸은 입체감 없이 평면적이며 양 어깨는 둥글게 처리되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계단식의 옷주름을 투박하게 나타냈고, 가슴과 배 아래에 띠매듭이 있다. 앉은 자세는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모습인데, 오른발의 처리가 조금은 어색하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머리광배 좌우에 각각.. 2021. 8. 20.
충남 서산 동문동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瑞山東門洞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 1기/1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3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의 간대(竿臺)는 중앙에 간을 받치는 부분을 직경 20㎝ 정도로 파고 기둥자리의 원자(圓座)를 양각하였다. 장식적인 의장이나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1개의 통석으로 비교적 작고 소박하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2021.06.16 동문동 당간지주 이전글보기 2.. 2021. 6. 28.
충남 아산 도고면 농은리장승 충남 아산 농은리 장승 2021.06.09 2021. 6. 23.
충남 서산 동문동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瑞山東門洞幢竿支柱) 분 류 :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 1기/1 지정(등록)일 : 2008.04.1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832-34 동문동에 소재한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위치한 이곳은 고려시대에 큰절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도 이곳을 대사동(大寺洞)이라고 부른다. 당간지주의 간대(竿臺)는 중앙에 간을 받치는 부분을 직경 20㎝ 정도로 파고 기둥자리의 원자(圓座)를 양각하였다. 장식적인 의장이나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1개의 통석으로 비교적 작고 소박하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서산동문동당간지주 2021.04.24 동문동당간지주 이전글보기 20.. 2021. 6. 10.
충남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洪城 高山寺 石造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2013.04.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산사 석조여래입상은 타원형의 둥근 얼굴에 둥글게 솟은 육계가 있으며 얼굴은 마모되어 선명하지 않은 편임. 전체적으로 편편하고 길쭉한 신체에 통견식의 대의를 입었으며 목 밑에서부터 촘촘하게 둥근 옷주름이 측면까지 이어지면서 새겨져 있음. 대퇴부에서 양 다리 사이로 신체의 굴곡이 남아 있어 전체적으로 얇은 대의를 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오른손은 아래로 그냥 내리고 왼손은 가슴 위로 들어 시무외인을 하고 있음.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20.. 2021. 5. 10.
충남 아산 온양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15호 온양향교 (溫陽鄕校)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 2,737㎡ 지정(등록)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외암로 1414-11 (읍내동) 시 대 : 2년(1610)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온양향교는 법곡동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그 뒤 광해군 2년(1610)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전체적인 구조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형태로 앞쪽에는 교육 공간을, 뒤쪽에는 제사 공간을 두었다. 입구에는 하마비·홍살문이 있고 외삼문을 지나면 정면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가 있다. 명륜당 뒤쪽 내삼문을 지나면 정면에 제사 공간인 대성.. 2021. 5. 10.
충남 당진 합덕성당 충청남도 기념물 제145호 당진합덕성당 (唐津合德聖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면적 : 2,390㎡ 지정(등록)일 : 1998.07.28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성당2길 16 (합덕읍, 천주교합덕성당) 낮은 언덕 위에 자리한 성당으로, 벽돌과 목재를 이용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드문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정면의 종탑이 쌍탑으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이 성당은 3개의 출입구와 창들이 모두 무지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외벽은 붉은 벽돌로, 창둘레와 종탑의 각 모서리는 회색벽돌로 쌓았다. 창 아래와 종탑의 각각 면에는 회색벽돌로 마름모형의 장식을 하였다. 1929년에 새로 지은 건물로, 10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며, 교회가 박해를 받을 때에는 순교의 장소.. 2021. 5. 5.
충남 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양 팔은 몸에 붙인 채 오른손은.. 2020.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