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석탑10 충북 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1967년 .. 2024. 11. 26.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2024. 11. 24. 충북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 2021. 5. 23. 충북 괴산 보안사삼층석탑 보물 제1299호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0.08.04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효근1길 23 (효근리) 시 대 : 고려 중기 보안사의 북쪽 담장 옆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檀)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본떠 간략히 조각해 두었다. 충북지역에서 발견된 석탑 가운데에는 이처럼 탑신에 감실을 새긴 예가 드물어 특이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석탑의 각 부분이 훼손되지 않은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탑신부가 균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지붕돌.. 2021. 5. 22. 충북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명 칭 : 괴산삼방리삼층석탑 (槐山三訪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5.06.3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1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고, 특히 탑신의 1층 몸돌 네 면에는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대일여래, 석가여래상 등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의 경사가 비교적 급하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괴산삼방리삼층석탑 2021.04.17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2.09.15 - [한국의석탑/충청북도] - [충북]괴산 삼.. 2021. 5. 21. [충북]괴산 삼방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명 칭 : 괴산삼방리삼층석탑 (槐山三訪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5.06.3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1 시 대 : 소유자 : 삼방리탑동마을 관리자 : 삼방리탑동마을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고, 특히 탑신의 1층 몸돌 네 면에는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대일여래, 석가여래상 등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의 경사가 비교적 급하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북 괴산 삼방리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 2012. 9. 15. [충북]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 (槐山鳳鶴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광사 관리자 : 보광사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 2012. 9. 15. [충북]괴산 삼방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명 칭 : 괴산삼방리삼층석탑 (槐山三訪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5.06.3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1 소유자 : 삼방리탑동마을 관리자 : 삼방리탑동마을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1.02] 2011. 10. 10. [충북]괴산 봉학사지오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 칭 :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 (槐山鳳鶴寺址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보광사 관리자 : 보광사 문 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관광과 043-830-3444 문현준의사진속으로[2009.11.02] 2011. 10. 10. 이전 1 2 다음